돼지고기, 덜 익혀먹어도 될까?

최근 돼지고기를 파는 인기 식당에 방문했다. 직원이 고기를 구워주면서 선홍색의 육질이 선명한데도 “다 익었다”며 “납품받는 고기는 건강한 사료를 쓰기 때문에 덜 익혀먹어도 된다”고 했다. 평소보다 덜 익힌 고기를 먹는다는 것이 낯설긴 했지만, 마치 소고기를 덜 구워먹었을 때 느끼는 육즙과 감칠맛이 뛰어났다.

소고기는 굽기 정도에 따라 ‘레어’ ‘미디움’ ‘웰던’ 등으로 나눠서 다양하게 즐기는 반면, 돼지고기는 왜 늘 굽기 정도를 달리 하지 않고 바짝 익혀서 먹었는지 다시 생각하게 됐다.

돼지고기, 덜 익혀먹어도 될까?

지난해 배우 차태현씨와 조인성씨가 전라도 지역의 한 슈퍼마켓 영업을 맡게 되는 예능프로그램이 있었다. 정육점을 함께 운영하는 이곳에 지역 주민들이 찾아와 “돼지고기 육회를 달라”는 장면이 나온 적이 있었다. 당시 서울 출신의 배우들은 돼지고기도 육회로 먹는다는 사실에 놀라며 시식을 해보기도 했다. 전라도에서는 그날 도축한 돼지고기를 신선한 상태의 날것으로 김치나 양념 등을 가미해 먹는 육회를 즐긴다.

 

돼지고기를 실제로 덜 익혀먹거나, 날로 먹어도 건강에는 문제가 없을까. 일단 전문가들은 고기의 생육 상태나 도축 상태를 소비자들이 투명하게 알기 어렵기 때문에 가급적 익혀 먹는 게 안전하다고 말한다. 특히 기생충에 감염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돼지고기 기생충 주의하세요

사료 외에도 다양한 음식을 먹고 자란 소와 돼지에게는 기생충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소는 초식 동물이지만, 돼지는 잡식동물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기생충에 감염될 가능성이 크다.

돼지 근육에 기생하는 유구조충이라는 기생충은 사람 소장에도 기생하게 된다. 심한 경우 기생충 알이 소장 벽을 뚫어 치명적 손상을 일으킬 수도 있다.

소나 돼지의 근육에 기생하는 기생충은 고온에서 조리를 하게 되면 사멸하는데, 특이한 점은 돼지와 소에 기생하는 기생충의 사멸 온도가 다르다는 것이다. 돼지의 기생충은 중심 온도가 77도 이상인 경우, 소의 기생충은 중심 온도가 65도 이상이면 사멸한다. 상대적으로 돼지의 기생충 사멸온도가 더 높다. 이 때문에 ‘소는 상대적으로 살짝 익혀 먹어도 되고, 돼지는 바짝 익혀먹어야 한다’는 말이 나왔을 걸로 추정된다.

최근에는 돼지를 기르는 축사들의 환경이나 위생이 개선됐다. 이 때문에 돼지를 덜 익혀먹는다고 해서 기생충에 반드시 감염되는 건 아니다. 위생적인 환경에서 길러지고 도축된 돼지는 덜 익혀 먹더라도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반대로 소고기라고 해서 다 감염 위험이 없는 것도 아니다. 위생 관리에 따라서 소고기 패티 같은 경우에는 충분히 익혀먹지 않으면 ‘햄버거병(용혈성 요독 증후군)’에 걸리기도 한다.

식중독 조심하세요

다만 식중독은 소나 돼지의 도축 환경과 별개로 항상 조심해야 한다. 위생적인 환경에서 길러졌다고 하더라도, 도축이나 유통 과정에서 대장균이나 포도상구균과 같은 균에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고기를 덜 익혀 먹게 되면 살모넬라균에 의한 식중독이 발생할 수 있다. 돼지 뿐 아니라 대부분의 고기를 먹을 때 익혀 먹는 게 안전한 이유 중 하나다.

손발톱 검은 세로줄의 원인, 피부암 흑색종?

손톱은 건강 신호의 이상을 가장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부위로, 건강한 사람은 주로 옅은 분홍색을 띄고 있다. 동의보감에 따르면 진료 시 가장 먼저 손톱을 확인하였으며, 색과 모양을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현재 건강 상태를 짐작해 볼 수 있다. 모양, 두께, 색깔의 변화 등 다양한 증상이 있다. 그중 손톱에 생긴 검은 세로줄은 간혹 ‘흑색종’이라는 암의 전조 증상일 수 있으므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검은 세로줄이 생기는 이유는 무엇인가?

대부분의 검은 세로줄은 건강에 큰 문제가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1) 외부적 요인에 의한 상처 - 손톱에 상처가 생긴 후 치유되는 과정에서 색소 침착으로 인해 검은 세로줄이 생길 수 있다.

2) 임신 – 90% 이상의 임산부가 임신 중 호르몬 변화로 인해 과다 색소 침착을 경험하게 되는데, 전신 피부에 기미, 주근깨, 갈색 반점 등이 생길 때 손톱에도 이러한 변화가 생길 수 있다.

3) 약물 복용 – 약물의 부작용으로 손톱에 색소 침착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4) 염증성 질환 – 곰팡이(무좀)에 감염됐을 경우 흑갈색으로 변함과 동시에 울퉁불퉁해질 수 있다.

5) 전신 질환 – 쿠싱증후군, 포르핀증, 에디슨병, 갑상선기능항진증 등 전신 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 손톱에 검은 세로줄이 생길 수 있다.

6) 흑색종 – 손톱에 검은 줄무늬가 생기면서 주변 피부까지 검은 반점이 퍼지고, 깨지거나 피가 나기도 한다. 통증과 염증을 유발하거나, 가족력이 있는 경우 흑색종을 의심해 볼 수 있다.

 

 

 

 

흑색종, 어떤 질환인가?

흑색종은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증가 추세에 있는 피부암의 한 종류이다.

멜라닌 세포가 존재하는 부위 어느 곳에서나 발생할 수 있으며, 흑갈색 반점이 점차 넓어지다가 흡사 사마귀처럼 튀어나온다. 대부분의 흑색종은 갈색이나 검은색을 띄지만 적색, 푸른색 등이 섞여 다양하게 보이는 경우도 많다. 발생 원인으로는 장기간 햇볕 노출과 햇볕으로 인한 화상, 유전적 요인, 거대 선천성 모반을 대표로 꼽을 수 있으며, 몸 전체에 점이 많을 경우 흑색종의 발생 빈도가 높다고 알려져 있다.

 

 

 

 

흑색종,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발생 위치 및 검사 소견을 통해 크게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1) 악성흑색점흑색종 –주로 60~70대 노인에게 얼굴 검은 반점으로 나타난다.

2) 표재확산흑색종 – 몸통, 엉덩이, 허벅지처럼 자외선에 노출되는 피부에 발생하며 다양한 색깔을 가지고 있다.

3) 말단흑자흑색종 – 손발바닥과 손발톱에 발생하며, 검은색의 불규칙한 반점이 나타난다.

4) 결절흑색종 – 부위 상관없이 발생되며, 처음엔 콩알과 같은 덩어리로 나타난다.

 

우리나라 환자는 말단흑자흑색종의 경우가 70~80%이며, 손발톱에 검은 줄무늬가 길게 생기는 것이 시초이다.

 

 

 

 

흑색종, 치료할 수 있는 질환인가?

환자의 상태와 발생 위치에 따라 절제 수술이 이루어진다.

흑색종은 조기 진단이 가장 중요하다. 말단흑자흑색종의 경우 대부분 진단이 늦어져 수지를 절단하는 방법으로 시행해 왔으나, 이는 기능적으로 심각한 손실을 발생시킨다. 병변이 큰 경우 피부이식술을 필요로 하며, 병변이 관절 주위에 위치해 있거나 제거 후 힘줄, 신경, 혈관, 뼈 등이 보이는 경우 도서형 피판술이나 유리 피판술이 이루어진다. 악성 흑색종은 보통 림프관을 따라 전이되기 때문에 전이 여부를 알기 위해 림프절 생검술(신체 조직 절제)를 필요로 한다. 또, 수술 후 재발 방지와 생존 기간 연장을 위해 인터페론 면역치료를 시행하기도 한다.

 

· 도서형 피판술 – 피판 사이 혈액 공급 부분이 생존에 필요한 동맥 및 정맥으로 이루어진 피판을 절제하는 수술 방법

· 유리 피판술 – 피부, 근육 등을 혈관이 붙어 있는 상태로 뗀 후 현미경을 이용하여 결손 부위에 붙이는 수술 방법